안녕하세요, 트로마츠 미생물막 연구소입니다.
미생물막이란
미생물(세균, 박테리아)는 단독으로도 존재가 가능하지만, 8시간 이상 물과 함께 있으면 서로 뭉쳐 보호막을 형성하게 됩니다. 이렇게 군집을 형성하여 공동체를 이룬 상태를 미생물막이라고 합니다.
출처: 2014, J Microbiol Exp 1(3): 00014. DOI: 10.15406/jmen.2014.01.00014.
미생물막은 단순한 미생물의 집합체가 아닌 완전히 새로운 유기체입니다. 보호막 안에서 생존을 위해 서로 공생 관계를 유지하며 환경 변화에 적응하는 본능을 발휘하여 박테리아 각자가 전문화된 기능으로 세분화를 시작합니다.
미생물막의 군집 구조는 향균 물질, 전단력, 면역체계 등의 방법으로 외부로부터의 공격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녹농균 미생물막의 섬모 구조 (좌) / 바실러스 박테리아의 미생물막 (우), 출처: Seeing the Beautiful Intelligence of Microbes, Quanta Magazine
As biofilm expands, it develops a more complex internal structure. Bacteria in different parts of its mass may also develop more specialized functions.
미생물막이 확장됨에 따라, 더욱 복잡한 내부구조가 발생합니다. 미생물막의 다른 부분에 있는 박테리아는 또한 더욱 전문화된 기능을 개발합니다.
출처: Seeing the Beautiful Intelligence of Microbes, Quanta Magazine
우리 주변의 미생물막
물이 닿는 표면이 있는 곳 어디에나 미생물막이 존재합니다.
가장 대표적인 예는 싱크대, 텀블러는 물론 가정용 및 산업용 파이프에 생기는 생기는 물 때로 음식 잔여물이나 비말에 포함된 미생물이 표면에 달라붙어 미생물막이 되며 악취를 유발하게 됩니다.
구강 내 치태(플라그) 또한 흔히 접할 수 있는 미생물막의 한 형태로, 구취/잇몸 붓기/구강 내 출혈 등 다양한 구강 질환의 원인이 됩니다.
이 외에도 차량 내 공조기 악취나 선박 표면의 따개비, 비염, 콘택트 렌즈/임플란트/요도 카테타 등에 생기는 다양한 염증 증상 역시 미생물막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들입니다.
주방에 생기는 물 때 미생물막은 세제나 수세미를 활용하면 되지만, 우리 몸에 생기는 미생물막 감염은 세제를 쓸 수 없으며 항생제를 쓸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치아 임플란트에 미생물막 감염이 있을 경우, 잇몸이 붓고 열감이 느껴지고 통증이 동반됩니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치과 전문의의 외과적 처치(소독, 긁어내는 방식)를 통하거나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잇몸이 녹아 임플란트를 교체해야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와 같이 우리 신체의 미생물막 감염은 그 해결책이 매우 고통스럽고 때로는 많은 비용을 수반하며, 약으로 처방하지 못하는 것이 가장 큰 문제입니다.
미생물막의 위험성
미생물막은 상처부위 감염이나 치주질환에서부터 폐 감염, 요도 카테타 감염, 인공 관절 감염과 같은 다양한 중증 질환의 원인이 됩니다.
미생물(박테리아)의 경우 항생제로 치료가 가능한 반면, 일단 미생물막이 형성되고 나면 항생제는 물론 락스와 같은 강한 산성에도 내성을 가지게 되어 제거도 어려워집니다. 미생물을 보호하는 미끈거리는 막이 일단 형성되면 각종 중증 감염과 염증을 일으키며, 악취를 동반하는 위생문제를 유발합니다. 이러한 미생물막은 인류의 최대무기인 항생제가 통하지 않는다는 심각한 문제점을 가집니다. 보호막 덕분에 항생제를 500배에서 최대 5000배까지 투여해야 하는 문제가 있어 임상적으로 적용이 불가능합니다.
염증 등의 형태로 몸 안에 바이오필름 감염이 발생했을 경우 이를 해결하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외과적 처치, 즉 수술이나 닦아내는 방법이었습니다.
Choosing preemptively to treat biofilm, the cause of over 80% of infections, can now be a component of every surgical intervention.
80%가 넘는 감염의 원인인 미생물막을 선제적으로 치료하기로 선택하는 것이 이제 모든 외과적 개입의 구성 요소가 될 수 있다.
출처: Beating Biofilm Is Key to Fighting Surgical Infections, Infection Control TODAY
주식회사 프록시헬스케어
대표자명: 김영욱 사업자번호: 136-88-01475